[원동인 칼럼] 교육격차는 멈추지 않는다

  • 입력 2020.10.30 14:39
  • 수정 2020.10.30 14:40
  • 기자명 원동인 SPR교육컨설팅 대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전 우리 아이들은 우주탐험을 꿈꾸었다. 태권V와 같은 하늘을 나는 로봇을 상상하였고 암이나 치매를 정복하는 꿈을 꿨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이공계 학생들은 의사를, 수학을 못해 인문계를 택한 학생들은 공무원 또는 공공기관 입사가 지상 최대 과제가 돼버렸다. 하지만 이 자리도 소수의 몫이다.

 

 

우리나라는 사교육비 비중이 높다. 집안의 재력에 따라 진학 기회가 크게 달라진다. 사교육비를 많이 댈 수 있는 학부모와 학생이 승승장구할 수밖에 없다. 성공 경로에 일찍 진입할 가능성이 높은 학생들이 명문대에 진학하고 고소득 직장에 취직한다. 교육에서도 승자독식 구조가 굳어진 것이다.

이러한 빈부격차가 낳은 가장 큰 폐해를 꼽으라면 이처럼 교육기회의 격차라고 하겠다. 물론 가진 자가 자녀에게 더 많은 양질의 교육을 시키겠다는 게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이런 격차가 완화되고 보완되는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히려 점점 심해지고 있다.

빈부격차 즉, 양극화는 교육격차만 불러오지 않는다. 건강 격차와 계층 이동 격차로 이어지면서, 부자는 갈수록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은 갈수록 가난해진다.

특히, 우리 사회는 결과의 양극화가 극심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 그리고 대학별 교육비 격차도 매우 큰 나라이다.

예를 들어, 2019년도 서울대의 1인당 연간 교육비는 약 4,800만원이다. 지방 거점 국립대는 서울대의 50%에도 미치지 못한다. 부산대의 1인당 연간 교육비는 약 1,900만원이다. 서울의 중상위권 사립대의 약 1,700만원으로 입학 대학의 결과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교육의 격차는 상상 이상이다.

이와 같은 결과의 양극화는 극심한 경쟁을 낳고 그 어떤 입시제도를 도입해도 경쟁 완화 또는 사교육 완화를 불려오지는 못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19가 더해져 교육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해결 방법이 없었는데, 여기에 코로나19까지 덮친 것이다.

내일 당장 코로나19가 해결된다고 해도 우리 사회의 교육격차 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내일 당장 코로나19가 해결된다고 해도 우리 사회의 결과의 양극화는 변하지 않을 것이다.

교육격차는 코로나19 이전에도 이후에도 계속 되고 있고 특별한 해결책이 없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결과의 양극화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극한의 경쟁은 계속될 것이고 사교육도 번성할 것이다.

우리나라 공교육이 교육격차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당신의 자녀는 당신이 지켜야 한다. 또는 사회 개혁의 최전선으로 나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저작권자 © 피플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